IT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4차 산업혁명, 디지털 트렌스 포메이션, 빅테크, 핀테크, 온라인 플랫폼, 구독서비스, 마이데이터 등 IT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들이 많이 생겨 나고 있다.
부동산 중개업 등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했던 사업들마저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하는 형태로 진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 많은 스타트업이 등장 하면서 IT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시도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요즘에는 가장 뜨거운 Chat GPT 등 정말 생각하면 할수록 새로운 기회들이 많이 생겨나는것 같다.
창업이나 사용자들 대상으로 하는 수많은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 모든 IT 프로젝트들이 성공하지는 못한다.
그러면 IT프로젝트, IT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있어 실패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번째, 정확한 서비스의 비전이나 목표가 구체적이지 못하다. 소프트웨어 공학 측면에서 이야기 하자면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명확하지 않다 정도로 이야기 할 수 있다. IT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확히 어떤 서비스를 제공 할 것이고 어떤 방식으로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구체화가 필요하다.
이런 구체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범위를 기반으로 인프라는 어떤 형태로 가져가고 보안 구성은 어떻게 가져가고 소프트웨어는 어떤 개발 방법론을 통해서 개발 일정이 얼마정도가 발생되는지에 대한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단순이 명확하지 않는 뜬구름 형태의 IT 서비스 구성은 향후 IT프로젝트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많은 위험 요소와 이슈로 돌아올 것이다.
두번째, 개인정보 관리체계의 미흡이다. 최근에는 대용량의 개인정보 또는 외부에 노출되면 안되는 정보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이런 정보들은 CC인증을 받은 암호화솔루션이나 암호화 모듈을 통해 암호화 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해당 데이터 베이스는 명확한 권한관리와 계정 관리를 통해 기밀성과 무결성성을 보장 받아야 한다. 해커나 내부 직원의 실수나 의도를 통해 개인정보가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금전적인 피해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 도입을 통해 개인정보 등 기밀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중요하다.
세번째, 서버, 보안 등 인프라 구성이 충분하지 않다. 단순히 IT 서비스의 목표만이 초점으로 몰려 서버나 보안, 통신 등의 인프라 환경 구성에는 충분하게 고려되지 않는 형태로 IT 서비스가 운영 될 수 있다.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행하거나 특정 시간대에 사용자가 일시에 접속하게 될 경우 인프라 구성이 뒷받침 되어 주지 못하면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이 불가능 할 것이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많이 등장 했으니 온프레미스 형태의 구성보다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게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네번째, IT 서비스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직 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 실제 IT 서비스를 오픈 후 관리 또는 운영이 지속으로 되지 않아 시간이 갈수록 점차 서비스가 망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IT 서비스 운영팀을 구성하고 체계화 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전문 서비스 업체와 용역 계약을 통해 서비스를 운영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계약을 수행하고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해서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보장 받는것도 하나의 대안이다.
최근에는 단위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가 아닌 대규모의 서비스가 서로 간의 연계를 통해서 서비스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조직 체계나 운영체계 또한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운영 되어야 한다. IT 거버넌스 체계를 구성하고 내부 정보화 업무 규칙을 수립하여 서비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IT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법 (0) | 2023.04.27 |
---|---|
IT 프로젝트에서 이해관계자가 왜 중요할까 (0) | 2023.04.26 |
정보화 사업 추진 시 일괄 발주, 상용SW직접 구매, 단계별 발주 조건 (0) | 2023.04.05 |
데브옵스(DevOps)는 IT프로젝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까 (0) | 2023.04.01 |
폭포수 개발 모델을 사용하는 이유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