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기반 테스트
리스크 기반 테스트 정의
리스크 기반 테스트랑 위험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순위가 높은 부분에 주어진 테스팅 자원을 집중하여 전체적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테스트 전략이다.
위험을 정량화 하기 위해서는 수치화를 해야하며, 그에 대한 기준으로 발생 가능성, 영향도에 따른 차별화된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매트릭스를 통해 영향도를 가시화하고 수치화가 가능하다.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자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정하고 리스크가 높은 부분에 집중적으로 자원으로 투입하는 방식이다.
리스크 기반 테스트 설명
위 그림과 같이 기술적 리스크과 사업적 리스크를 나누고 리스크가 높을 수록 각각의 항목을 지정한다.
리스크 레벨은 아래와 같다.
STA(Severe Test Area)는 1순위로 우선순위를 두며, 모든 가능한 테스트 케이스를 테스트 수행한다. 또한 workaround를 가장 낮게 잡고 해당 기준치를 통과해야 테스트에 통과할 수 있게 설정한다.
유즈케이스 테스팅, MC/DC, 페어와이즈, 경계값 분석 등의 모든 테스트 기법을 동원하여 많은 자원을 투입한다.
STTA(Strong Test Area)는 2순위로 우선순위를 두며 모든 가능한 테스트 케이스를 수행한다. 다만 1순위와 다른 점은 workaround 를 1순위와는 다르게 조금더 높게 지정한다.
모든 테스트 케이스를 수행하는 점에서 1순위와는 동일하지만 workaround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ITA(Intensive Test Area)는 3순위 이며 전체 테스트 케이스가 아닌 80~90% 또는 테스트 환경이나 인력의 구성에 맞게 조정한다.
정확히 어느 부분까지 테스트를 해야 한다라는 내용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프로젝트 관리 측면에서 상황에 맞게 테스트 범위를 지정하면 될것이다.
FTA(Fundamental Test Area)는 마지막 순위이며 테스크 케이스의 범위는 최대한 낮춰 진행한다. 네가지 유형 중에서 가장 리스크가 없다고 판단 된다고 생각하는 기능에 대해 해당 레벨을 지정한다.
리스크 기반 테스트를 사용하는 현실적인 방안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오류가 발생되면 조직에 치명적인 손해나 업무 차질이 발생하는 기능들이 있다.
온라인 마켓 같은 경우는 결제 관련 모듈이 그럴것이며, 내부 ERP 시스템의 경우에는 결산이나 마감 같은 기능들이 그럴것이다.
이럴때는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산정하여 진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것이다. 프로젝트 매니저를 중심으로 팀원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정의할때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통해 도출하는 방법이 좋다.
프로젝트의 상황이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정형화된 테스트 기법을 적용하기 보다는 프로젝트 환경에 맞게 맞춰 테스트를 진행하는게 효율적인 테스트 기법이 될것이다.
'IT지식 > 소프트웨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귀테스트(Regression Test) (0) | 2023.08.07 |
---|---|
화이트 박스 테스트, 블랙 박스 테스트 (0) | 2023.08.07 |
테스트 유형 (0) | 2023.08.07 |
Record&Replay (0) | 2023.08.04 |
테스트 하네스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