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에는 IT업무도 워낙 세분화 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분야만 전문적으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서버실에 장비가 

 

어떤 구성으로 되어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런 관점에서 전산실 담당자는 장비 설치 작업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봐야 하고 매우 머리가 아플수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장비 교체시 고려해야할 부분에 대해 정리를 한번 해본다.

 

그러면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장비 교체시 고려해할 점은 무엇인가?

 

 

 

1. 렉 공간, 광케이블 구성 등 물리적으로 장비 설치가 가능한지 부터 확인하자.

 

장비 설치시 물리적으로 렉 안에 장비를 배치해야 되기 때문에 렉에 위치가 중요하다.

 

실제로 렉에 설치할 공간이 없거나 기존 렉에 전기 용량이나  PDU가 부족할 경우 렉 마운트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신규 렉 설치를 고려 해야 하며 전산실 내부에서 물리적으로 렉을 위치할 수 있는지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렉에 구성되어 있는 PDU(전력분배장치)에 전원부 연결이 가능한지도 확인해야 하며 리셉터클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허용 전압을 체크해야 한다.

 

또한 광케이블이나  UTP 케이블이 포설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며

 

수량 및 길이를 확인해야 한다.

 

소규모 전산실이나 수량이 많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블 전문 포설 업체에 의뢰를 하는게 좋다.

 

광케이블 포설하는 경우에는 지빅(GIBC) 1G SFP / 10G SFP 수량도 같이 구입해야 한다.

 

광케이블 포설시  LC-LC / LC-SC,  멀티모드 / 싱글모드 등 체크해야 한다.

 

보통 업링크는 싱글모드, 장비간에 연결은 멀티모드로 구성한다.

 

장비에서 지원하는 1G, 10G 포트 수량도 같이 확인한다.

 

렉 안에서 장비가 상단에 위치하는지 하단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케이블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이런 부분들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2. 장비 납품 일정과 장비 사전 작업 소요시간을 고려하자.

 

특히 외산 장비의 경우 해외에서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문후 최소 몇주에서 한달정도 소요될수 있다.

 

이런 물리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장비를 입고 시킬수 있는 일정을 확인 해야 한다.

 

또한 장비 도입시 설치 전 장비의 에이징이나 환경설정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에이징은 보통 며칠에서 1주일정도 하며 환경 설정의 경우에는 장비의 특성이나 환경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니 사전에 전문엔지니어와 충분히 상의 해야 한다.

 

 

 

3. 장비 설치 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자.

 

장비 설치 위치와 전기, 케이블 구성과 장비 납품, 사전 장비 세팅 작업이 끝난 후에는 

 

장비 설치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을 수립하자.

 

보통 장비 설치는 야간이나 주말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설치의 경우에는 크게 상관이 없지만

 

기존 장비의 교체의 경우에는 관련 서비스가 단절되거나 순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직원이나 사용자에게 업무 영향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두다 퇴근을 하거나 잠을 자고 있는 야간시간대에 작업을 진행 한다.

 

타임테이블을 기준으로 시간대별로 작업해야 하는 순서를 정하고 각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차분하게 작업을 진행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장비 교체시 이중화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탠바이 장비(2호기)부터 교체하고

 

엑티브 장비(1호기)를 교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중간에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하여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장애 범위를 최대한 줄여주는게 좋다.

 

 

 

4. 장비를 설치했다면 테스트와 모니터링을 수행 하자.

 

장비를 설치 했다면 기존에 수립한 테스트 시나리오에 맞게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되는지

 

확인하자.

 

장비를 설치하는 경우는 보안이나 관리용이 아닌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서비스를 

 

하기 위함이다.

 

그러기 때문에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를 수행하고

 

특정기간 동안은 모니터링을 통해 장애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도록 하자.

 

 

5. 장비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마무리 작업을 하자.

 

장비 설치가 정상적으로 마무리 되고 문제가 없다면 마무리 작업을 하자.

 

케이블의 라벨링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다시 한번 체크하고

 

렉에 케이블도도 깔끔하게 다시한번 정리하자.

 

그리고 전산실에서 작업한 후에 남아 있는 박스 등의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고

 

작업을 완료하면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