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1.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란 무엇인가?

 

DBMS란 조직에서 응용시스템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최소의 중복으로 통합, 저장, 운영된 데이터의 집합이다.

 

가장 대표적인 DBMS 유형으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RDBMS(Relation 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존재하며 최근에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RDBMS에 대해서 설명한다.

 

 

2.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조작어 설명

구분 언어 내용
DDL Create Table
Alter Table
Drop Table
-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하고, 명시된 문장이 입력되어지면 DBMS가 스키마에 대한 명세를 시스템 카탈로그(데이터사전)에 저장
DML Select
Insert
Delete
Update
- Data Mulipula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의 원하는 데이터를 수정하고, 삽입하고, 삭제하는 언어
- 절차적 DML(응용프로그램), 비절차적 DML(질의어)
DCL Grant
Revoke
-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의 규정이나 기법정의하고 제어하는 언어
- 권한부여/취소, 세션 킬 등 관리 목적
- 데이터 보안, 무결성, 데이터회복, 병행수행 제어를 명세 할 수 있는 명령어

DBMS 조작어를 통해 데이터를 삭제, 삽입, 수정 등 핸들링 한다.

 

 

3.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구성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구성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구성도

DB 사용자는 최종 사용자, 응용프로그래머, DBA로 나뉜다. 각각의 역할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권한을 설정한다.

SQL 처리 과정으로는 SQL Parsing, Optimization, Row-Source Generation, Execution의 단계로 진행 된다.

 

SQL Parsing은 SQL 문장을 이루는 개별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Parsing 하여 Parsing Tree를 만든다.

 

Optimization은 옵티마이저가 시스템 통계 및 오브젝트 통계 정보를 판단 기준으로 삼아 다양한 엑세스 경로를 비교하고 그 중 가장 효율적인 실행 계획을 선택한다.

 

Row-Source Generation은 최적화 과정을거치면 SQL 처리과정으로 표현한 실행 계획이 만들어진다.

 

Execution은 Data File에서 원하는 정보가 있는 데이터 블록을 Database Buffer Cache 에 복사한다.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일반적으로 서버에 저장되며, 용량이 클 경우에는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하고 서버와 마운트를 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도 있다.

 

 

반응형

'IT지식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잭션(직렬성)  (0) 2023.09.11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  (0) 2023.04.06
개념적 모델링  (0) 2023.04.05

+ Recent posts